Department of Welfare for the Elderly
노인복지학 전공은 고령, 초고령사회를 대비하여 노인복지 및 고령친화산업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에 중점을 두고, 사회복지, 노인복지, 고령친화산업 관련 전문이론과 실천 기술을 학습할 수 있는 전공이다.
학과사무실 | 전화번호 | 개설과정 | 수여학위 | |||
---|---|---|---|---|---|---|
석사과정 | 박사과정 | 석/박사 통합과정 |
||||
천안캠퍼스 |
041-560-8447~8, 8450
FAX:041-560-8451 |
석사과정 박사과정 |
논문 | 논문대체 |
인재개발학과 청소년문화 · 상담학전공 박사 (5학기, 36학점) |
9학기 60학점 이상 |
4학기
36학점 이상 |
- |
모집 요강
면접전형
홈페이지 및 공지사항을 참조하여 모집요강을 필히 확인하신 후 지원바랍니다.
장학금 혜택
석사과정 | 박사과정 |
---|---|
입학원서 1부 학사 졸업(예정)증명서 1부 학사 성적 증명서 1부 개인정보제공동의서 1부 |
입학원서 1부 석사 졸업(예정)증명서 1부 석사 성적증명서 1부 학사 졸업(예정)증명서 1부 학사 성적증명서 1부 개인정보제공동의서 1부 박사과정 연구계획서 1부 |
수업시간
졸업요건
소통강화
전공 | 연구분야 | 주요내용 |
---|---|---|
노인복지 | 노인복지경영 | - 초고령화사회의 집입에 따른 사회의 변화를 예견하여 노인과 관련된 산업적 측면에서 경영을 연구 - 노인관련산업관 경영의 융합적 결합으로 CEO관점에서 노인관련 기관들의 경영학적 접목을 연구 - 노인관련 기관/ 산업을 비즈니스모델과 복지적 요소와 결합하여 4차 혁명시대의 새로운 학문적 영역으로 정립 - 노인관련 기관/ 산업의 미시적 측면과 거시적 측면으로 접근하여 노인산업의 동향, 국제적 추세, 국내동향등을 연구함으로 미래 산업의 방향을 도출 |
사회복지정책 |
- 사회복지정책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정책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를 정립. 이를 위해 사회복지정책의 일반적 가치와 이념을 학습 - 사회복지정책의 역사적 변천과정 학습을 통해 국가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사회복지정책의 이론과 사상을 학습하고 복지국가의 발전에 관한 이론 학습 - 사회복지정책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정책의 과정, 사회복지정책의 분석 틀, 정책수행과정, 정책비용, 정책결과들을 이해, 학습. - 복지국가의 유형과 흐름을 파악하고 사회복지정책의 실제를 이해 - 한국사회복지정책의 유형을 파악 후 내용분석 - 한국의 사회복지정책 동향과 과제를 분석 |
|
사회복지실천 및 정신건강 |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실천기술 모델과 개입적 적용 및 효과에 대한 논문 결과에 대한 이해를 제고 - 가장 많이 유용되는 사회복지실천모델(인지행동, 해결중심, 과제중심, 위기개입, 동기강화, 역량강화 모델)에 대한 이론 및 사례 접근을 습득한 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실천기술에 대한 논문을 읽고 분석 및 토론 - 노인복지 실천 기법에 대한 과학적 지식 습득과 개입 효과에 대한 연구(실험조사설계 등)의 체계와 논문 작성법을 학습 - 노화와 정신건강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노년기 정신건강 모형에 대해 학습 - 노년기 정신건강 문제를 인지장애, 우울증, 조현병, 불안장애, 성기능장애, 수면장애, 물질사용장애, 부부 및 가족갈등을 중심으로 관련 이론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며 최근 국내외 선행 연구의 내용과 동향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관심 연구주제에 대한 심화된 지식을 제고시키는 것을 목표. |
|
사회복지법제 |
- 사회복지법과 체계를 이해하고 출현배경과 과정을 이해. 실정법으로서 사회복지 관련법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함양시킨 후 사회복지관련법의 판례를 학습, 그 법리를 이해하고 연구 - 사회복지법제를 통한 사회복지제도와 정책 행정 및 실천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사회복지실천에 연결시킬 수 있는 역량을 구비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관련법을 연구 및 현장을 방문 |
|
고령친화 | 고령친화산업 |
- 고령친화산업 전반에 대한 내용과 최신 기술을 접목하여 노인을 지원하기 위한 내용도 포함하여 연구 - 고령친화산업의 대상자인 실버소비자와 관련 원리에 대한 연구 - 현 고령사회의 이슈를 파악하고 고령친화산업 분야에 대한 연구 -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융복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노인복지를 연관 산업으로 접목할 수 있는지를 연구 - 인공지능 고령친화산업 동향으로 노인문제 해결의 새로운 방법을 연구 |
가족복지 | 노년기 가족정책 공공전달체계에서의 가족서비스 |
- 가족복지의 정책적 접근 및 가족복지 서비스 실천분야 탐구, 실천기술을 학습하고 훈련 - 가족복지의 정책과 그 기능, 서비스 전달체계와 실천방법 등을 학습하기 위한 선행연구 |
석/박사 공통 | 박사과정 | ||
---|---|---|---|
과목 | 학점 | 일반과정 | 심화과정 |
노년기의이해 | 3 | 가족복지론 | 노인복지실천세미나 |
고령친화산업론 | 3 | 고급노인복지론 | 고급노인복지조사방법론 |
노인과 영성 | 3 | 노년학 | 노인 정신건강연구 |
조사방법론 | 3 | 고령친화정책론 | 고령친화산업 연구방법론 |
고급 노인복지실천론 |
3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 고령친화산업 국제비교연구 |
고급 노인복지행정론 |
3 | 노년문화론 | 연구설계론 |
고급 노인복지정책론 |
3 | 고령친화산업론 | 가족복지정책 및 서비스 |
고급 노인복지법제론 |
3 | 노인주거복지연구 | 노인복지정책 및 서비스 |
노인복지 국제비교연구론 |
3 | 노인심리와 상담 | 질적연구방법론 |
4차혁명(AI)와 초고령화 |
3 | 노인 여가산업론 | 노인프로그램개발과 연구 |
노인복지 자료분석론 | 노인복지시설 운영론 | ||
노인생애설계론 | 고령친화산업 창업론 | ||
노인문제연구 | 노인 평생교육론 | ||
노인정보화교육론 | 사회보장론 | ||
논문 세미나 | 고급통계분석 | ||
노년학 연구 | 노년기 죽음과 상실 | ||
노년사회학 |
성명 | 이메일 | 전공분야 |
---|---|---|
안준희 (대학원 전공 주임 교수) |
joonjeeagn1@gamil.com | 노인정신건강/사회복지실천/노인상담 |
박현식 | phs7922@hoseo.edu | 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행정 |
이선형 | yisunh@hoseo.edu | 노인융복합/고령친화산업/노인복지 |
이윤정 | yoon2525@hoseo.edu | 가족복지/노인복지 |
성명 | 졸업년도 | 근무지 | 졸업학위 (석사·박사) |
---|---|---|---|
정O석 | 2019 | 한국전력공사 | 박사 |
최O호 | 2019 | 당진자원봉사센터 | 수료 |
김O천 | 2021 | 호서전문요양원 | 박사 |
김O오 | 2021 | 군산노인보호전문기관 | 박사 |
이O강 | 2021 | 해피하우스 | 석사 |
노인복지학전공 주임교수 안준희
041-560-8154 / joonheeagn1@gam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