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artment of Information Protection
지식 정보 사회의 핵심 정보를 보호하는 R&D 능력과 실전 감각 갖춘 정보보호 전문가를 양성하고 연구 중심의 고급 인력을 양성한다.
학과사무실 | 전화번호 | 개설과정 | 수여학위 | ||
---|---|---|---|---|---|
석사과정 | 박사과정 | 통합과정 | |||
아산캠퍼스 |
사무행정 041-540-5695 주임교수 010-5216-9862 |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 통합과정 |
공학석사 (4학기, 24학점) |
공학박사 (5학기, 36학점) |
공학박사 (8학기, 60학점) |
정보보호학과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표하는 큰 흐름인 AI, Cloud, IoT/CPS, Blockchain, 양자암호에서의 실질적 보안 문제점을 탐지 및 대응할 수 있는 정보보호 전문가를 양성한다. 침해공격은 단순히 사이버 공간에서의 피해를 넘어 전기/가스/수도/원자력 등 생활전반으로 확대됨에 따라, 정보보호 전문가의 역할은 점차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이에따라, 암호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암호 알고리즘/프로토콜, AI, Cloud, IoT/CPS를 포함한 시스템 보안 관련 분야, 유/무선 네트워크 보안 관련 분야, 다양한 정보통신 응용 서비스에 대한 보안 분야, 정보보호 제품에 대한 평가 및 인증에 관련 분야를 연구한다.
전공 | 연구분야 | 주요내용 |
---|---|---|
정보보호 | 암호이론 | 정보보호학과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표하는 큰 흐름인 AI, Cloud, IoT/CPS, Blockchain, 양자암호에서의 실질적 보안 문제점을 탐지 및 대응할 수 있는 정보보호 전문가를 양성한다. 침해공격은 단순히 사이버 공간에서의 피해를 넘어 전기/가스/수도/원자력 등 생활전반으로 확대됨에 따라, 정보보호 전문가의 역할은 점차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이에따라, 암호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암호 알고리즘/프로토콜, AI, Cloud, IoT/CPS를 포함한 시스템 보안 관련 분야, 유/무선 네트워크 보안 관련 분야, 다양한 정보통신 응용 서비스에 대한 보안 분야, 정보보호 제품에 대한 평가 및 인증에 관련 분야를 연구한다. |
암호 프로토콜 | ||
시스템 보안 | ||
네트워크 보안 | ||
응용 보안 | ||
평가 및 인증 |
구분 | 세부구분 | 학위과정 | 교과목명 | 학점 | 시수 | 교과목설명 | |
---|---|---|---|---|---|---|---|
공통 | 필수 | 공통 | 국문 | 논문작성법 | 3 | 3 | |
영문 | Method of Thesis Writing | ||||||
공통 | 필수 | 공통 | 국문 | 네트워크보안특론 | 3 | 3 | |
영문 | Advanced Topics in Network Security | ||||||
공통 | 필수 | 공통 | 국문 | 데이터베이스 보안 특론 | 3 | 3 | |
영문 | Advanced Topics in Database Security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암호학 특론 | 3 | 3 | |
영문 | Advanced Topics in Cryptogrphy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네트워크보안응용시스템 | 3 | 3 | |
영문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시스템응용보안 특론 | 3 | 3 | 시스템 보안영역에서의 최신이슈 분석 및 대응방안 |
영문 | Advanced System Application Security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유비쿼더스 보안 | 3 | 3 | |
영문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현대암호학 II | 3 | 3 | |
영문 | Modern Cryptography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보안프로토콜 분석론 | 3 | 3 | |
영문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정보보호제품 평가 및 인증 | 3 | 3 | |
영문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정보보호응용특론 | 3 | 3 | |
영문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차세대네트워크보안 | 3 | 3 | IoT, SDN, Cloud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보안이슈 분석 |
영문 | Next Generation Network Security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정보보호 세미나 | 3 | 3 | |
영문 | Information Security Seminar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정보보호세미나 II | 3 | 3 | |
영문 | Information Security Seminar II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정보보호정책 및 관리 | 3 | 3 | |
영문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IoT 보안 | 3 | 3 | |
영문 | IoT Security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현대암호학 I | 3 | 3 | |
영문 | Modern Cryptography I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악성코드 분석 | 3 | 3 | 악성코드에 대한 정적분석, 동적분석 기술 이해 |
영문 | Malware Analysis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머신러닝과 보안 | 3 | 3 | Classification, Regression 등 머신러닝 기본기술 이해 및 보안분야에의 적용결과 산출 |
영문 | Machine learning and security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텍스트마이닝 기반 보안응용 특론 | 3 | 3 | Text mining 기술분석 및 정보보호분야에서의 응용방안 논의 |
영문 | Text mining based Security Application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이상징후 분석 | 3 | 3 | 시스템 및 네트워크 분야에서 이상징후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기법인 Anomaly Detection의 다양한 Approach 분석 |
영문 | Anomaly Detection |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고급 머신러닝 보안 특론 | 3 | 3 | DNN, CNN, RNN, GNN, Clustering, Outlier Detectrion 등이 복합적으로 연결된 머신러닝 기술의 실질적 보안응용 이슈 |
영문 | Advanced Security Topics in Machine learning |
성명 | 이메일 | 전공분야 |
---|---|---|
하재철 | jcha@hoseo.edu | 암호학/네트워크 보안 |
김환구 | hkkim@hoseo.edu | 프로그래밍 보안 |
정원일 | wnchung@hoseo.edu | 데이터베이스 보안 |
오수현 | shoh@hoseo.edu | 암호프로토콜/응용 |
이태진 | kinjecs@hoseo.edu | AI/시스템 보안 |
이호웅 | always14@hoseo.edu | AI융합보안 |
조학수 | marius71@hoseo.edu | 네트워크 보안 |
성명 | 졸업년도 | 근무지 | 졸업학위 (석사·박사) |
---|---|---|---|
박OO | 2017 | 한국인터넷진흥원 | 석사 |
장OO | 2018 | 안랩 | 석사 |
권OO | 2020 | 라닉스 | 석사 |
배OO | 2022 | 고려대 | 석사 |
황OO | 2022 | NNSP | 석사 |
황OO | 2022 | 한국인터넷진흥원 | 석사 |
정보보호학과 주임교수 이태진
041-540-5717/ kinjecs@hoseo.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