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 |
필수 |
공통 |
국문 |
논문작성법 |
3 |
3 |
|
영문 |
Method of Thesis Writing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불규칙신호 및 시스템론 |
3 |
3 |
물리적인 신호나 시스템의 관측, 해석 및 설계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확률적 특성에 관한 기본적인 성질이나 특성을 파악하고 연구한다. 신호나 시스템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함에 있어 확률적 특성을 파악케하고, 물리적 시스템의 정확한 모델링을 위한 해석기법과 불규칙 신호의 해석 및 선형시스템의 응답특성을 연구하고 공학분야에서 발생하는 확률적인 문제들을 취급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물리적 시스템의 현상을 분석하고 새로운 알고리즘의 개발 및 시스템 설계등을 위한 기초능력을 갖게 한다. |
영문 |
Random Signals and Systems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선형시스템론 |
3 |
3 |
본 교과목에서는 각종 제어 계측 이론의 기초가 되는 이론들을 강의한다. 구체적으로 수학적 기초 및 수학적 모델링, 선형 동적 시스템의 상태 공간 해석, 피드백 제어 시스템의 성능과 안정도, 선형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과 안정도 강인성, 고유값과 고유벡터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의 설계 상태 관측기 등에 대하여 다룬다. |
영문 |
Linear System Theory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최적제어응용 |
3 |
3 |
학부과정에 개설된 교과목인 제어시스템 및 디지털 제어를 수강하여 습득한, 자동제어시스템의 해석 및 설계에 관한 기초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최적제어시스템에 관한 이론을 습득하게 하고, MATLAB등을 이용한 시스템 시뮤레이션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확실한 개념 파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
영문 |
Applied Optimal Control |
전공 |
선택 |
석사 |
국문 |
적응제어이론 |
3 |
3 |
적응제어의 알고리즘, 컴퓨터에 의한 실현 방법등을 다룬다. |
영문 |
Adaptive Control Theory |
전공 |
선택 |
석사 |
국문 |
제어공학특강 |
3 |
3 |
제어공학 전반에 걸친 주요 연구과제에 대하여 다루며 특히 최근의 연구동향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다룬다. |
영문 |
Special Topics on Control System |
전공 |
선택 |
석사 |
국문 |
선형계통공학 |
3 |
3 |
유한차원의 벡터공간, Canonical Forms, Controllabillity와 Observability, Random Signal의 처리, 선형계통의 안정성과 안정도등을 다룬다. |
영문 |
Linear System Engineering |
전공 |
선택 |
석사 |
국문 |
최적제어이론 |
3 |
3 |
최적화의 개념, 계통의 평가함수, 최적제어를 위한 수학적 기법, 선형계획과 비선형계획, Maximum Principle과 그 응용, 컴퓨터를 이용한 최적제어 계통의 설계등을 다룬다. |
영문 |
Optimal Control Theory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시스템식별론 |
3 |
3 |
주어진 물리적인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수학적 모델을 구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기본 지식을 제공하기위한 것이 개설 목적이며, 학부과정에서 배운 자동제어시스템의 해석 및 설계에 관한 기초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시스템파라미터의 추정방법, 모델의 구조결정 및 검증방법 등의 시스템 식별론에 관한 지식을 이해하게 하고, MATLAB이나 C언어등을 이용한 파라미터추정에 대한 시뮤레이션을 수행해 보게 함으로써, 수학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알고리즘에 대한 개념 파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
영문 |
System Identification |
전공 |
선택 |
석사 |
국문 |
비선형제어시스템 |
3 |
3 |
통계적 설계의 원리, 샘플링자료, 시변매개변수계통, 위상면을 이용한 최적제어, 적응제어, 리아프노프 방법을 이용한 안정도 해석, 비선형계의 설계등을 다룬다. |
영문 |
Nonlinear Control Systems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디지털제어특론 |
3 |
3 |
Z변환, 이산치 궤환 제어계, 스토캐스틱 제어계통, 안정도 해석, 컴퓨터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 디지털 제어기 및 레귤레이터 설계 등에 대해서 다룬다. |
영문 |
Special Topics on Digital Control Systems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디지털필터및설계응용 |
3 |
3 |
디지털 시스템의 해석이나 분석 및 설계에 필요한 기초지식, 즉 이산 및 디지털 신호에 대한 분석,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의 시스템의 해석, Discrete Fourier Transform, Fast Fourier Transform등의 성질이나 특성을 파악하고 연구한다. 이들 기초 지식을 배경으로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 공간에서의 해석, 각종 디지털 필터의 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실시스템에의 응용등의 문제들을 취급한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실제 응용되고 있는 시스템의 예를 중심으로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새로운 시스템 및 알고리즘의 개발능력을 갖도록 한다. |
영문 |
Digital Filter Design and Applications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신호처리특론 |
3 |
3 |
디지털 신호처리의 구체적인 예로써 산업계 전반에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영상신호처리 관한 기본성질과 특성을 연구한다. 즉, 영상신호의 압축/복원, 보간, 강조, Edge Detection등 영상신호처리에 관한 여러 가지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새로운 기법의 개발과 응용능력을 갖도록 한다. 또한, 음성신호에 관해서도 기본적인 특성을 파악케해 영상 및 음성신호의 통합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관련 세미나의 개최나 켐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이들을 응용한 다양한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기초지식과 알고리즘 개발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영문 |
Advanced Signal Processing |
전공 |
선택 |
석사 |
국문 |
적응신호처리 |
3 |
3 |
잡음의 특성, 잡음의 모델링,잡음에 대한 신호처리 기법, 적응신호처리 시스템에 대해 다룬다. 또한, 입력신호의 특성에 따라 적응화된 모델링 기법을 취급하고, 모델링에 따른 Newton's method, Gradient 추정, LMS등의 최적화 기법의 연구와 이를 응용한 적응시스템 및 신호처리에 관해 연구한다. |
영문 |
Adaptive Signal Processing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서보시스템론 |
3 |
3 |
본 과정에서는 서보 시스템, 특히 제어 대상이 되는 전기기기의 해석에 대하여, 고전적인 해석법 뿐 만 아니라 d-q 변환을 이용한 기기를 분석법을 이해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파라미터 변화에 따른 특성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기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서보 시스템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제어 기법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
영문 |
Servo System Theory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전기기기제어이론 |
3 |
3 |
전기기기, 특히 서보기기를 대상으로 하여 각종 제어법을 익히고, 이들 제어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어 기법에 따라 제어 대상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제어장치의 개발시 실용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영문 |
Control Theory of Electric Machinery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로봇공학 |
3 |
3 |
산업로봇에 관한 기초 및 응용에 관한 이론 및 설계방법 등을 다룬다. |
영문 |
Robotic Engineering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컴퓨터제어시스템 |
3 |
3 |
학부과정에서 배운 자동제어시스템의 해석 및 설계에 관한 기초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이산시간 시스템의 상태변수모델 및 응답특성, 안정도, 가제어성, 가관측성 등에 관한 지식을 갖게 한 후 극배치법, 디지탈 PID 제어기, LQ 제어기 설계 문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디지탈제어기의 구현에 관한 문제점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MATLAB등을 이용한 시뮤레이션을 수행해 보게 함으로써, 수학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제어알고리즘 및 응답특성에 대한 개념 파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
영문 |
Computer-Controlled Systems |
전공 |
선택 |
석사 |
국문 |
자동화시스템 |
3 |
3 |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과 제어기능, 논리회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검출기기, 제어기기, 전송기기, 자동화 기기, 시스템의 계층구조, 시퀀스제어시스템, 프로그램형 자동화 시스템과 공정제어등을 다룬다. |
영문 |
Automated Systems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광신호계측및처리론 |
3 |
3 |
본 과정에서는 광을 이용한 여러가지 물리량, 예를 들어 물체의 속도, 변위, 힘, 압력,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여러가지 계측 방법에 대하여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전개한다. 그리고 광계측 기법을 이용하여 얻은 광계측신호로부터 원하는 물리량의 크기를 알기위한, 기본적인 광신호처리기법에 대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
영문 |
Optical Signal Measurement and Processing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광센서공학 |
3 |
3 |
기존의 광을 이용한 센서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개설된 과목이다. 이를 위해 광섬유의 구조와 일반적인 신호전달 특성을 이해한다. 다음에 광섬유를 이용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광섬유 센서에 대해 공부하고 이의 응용범위에 대해서 공부한다. 그리고 최근에 많이 연구되고 있는 Bragg grating sensor의 원리와 이를 이용한 응용에 대해 공부한다. |
영문 |
Optical Fiber Sensors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센서특론 및 그 응용 |
3 |
3 |
여러 종류의 센서 (Silicon 센서, 박막기술로 제조된 센서, Thick-Film 센서, 광섬유 센서, 화학적 센서 등등)에 대하여 고찰하고 그 응용에 대하여 상세히 다루는 과목이다. |
영문 |
Advanced Sensor and Applications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전자계계측론 |
3 |
3 |
대부분의 전자 기기들이 재료의 전자기적 성질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정밀한 해석 및 설계를 위하여 전기, 자기 현상에 대한 계측 및 해석의 이론을 배운다. 또한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특성 해석, 성능 예측이 가능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영문 |
Measurement Theory of Electromagnetic System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회전기기 특론 |
3 |
3 |
회전기기를 대상으로 하여 각종 제어법을 익히고, 이들 제어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어 기법에 따라 제어 대상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제어장치의 개발시 실용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영문 |
Special Tpoics on Rotational Machinery |
전공 |
선택 |
석사 |
국문 |
회로이론 특론 |
3 |
3 |
회로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다룬다. |
영문 |
Special Tpoics on Circuit Theory |
전공 |
선택 |
공통 |
국문 |
전기기기설계특론 |
3 |
3 |
전기기기, 특히 서보기기를 대상으로 하여 각종 설계법을 익히고, 이들 설계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 기법에 따라 설계 대상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바탕으로 제어장치의 설계시 실용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영문 |
Special Topics on Design of Electric Machine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