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artment of Youth Cultural Counseling
청소년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한 인재를 배출하기 위하여 고급 청소년지도사 및 상담사, 전문상담교사 등의 양성의 소명을 지니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실시합니다.
학과사무실 | 전화번호 | 개설과정 | 수여학위 | |
---|---|---|---|---|
석사과정 | 박사과정 | |||
천안캠퍼스 |
사무행정 041)560-8140 주임교수 010-5284-9377 |
석사과정 박사과정 |
청소년문화·상담학석사 (4학기, 24학점) |
인재개발학과 청소년문화 · 상담학전공 박사 (5학기, 36학점) |
청소년의 의식과 문화를 심도있게 이해, 분석, 탐색하고 청소년문제와 복지에 대한 사회적 대응방안을 탐구함으로써, 국가의 청소년지도 및 정책수행을 담당할 전문 인력, 청소년문제 전문가, 새로운 청소년 문화 주창자, 청소년 전문 상담자, 청소년 수련활동 전문가를 양성한다.
장학금 혜택
수업 시간
졸업 요건
취득 가능 자격증
소통강화
전공 | 연구분야 | 주요내용 |
---|---|---|
청소년 지도 | 청소년문화 | 청소년과 청소년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청소년문화의 개념, 실태, 이론 등을 고찰하며 연구 |
청소년국제교류 | 국제화, 정보화시대 청소년들의 다양한 해외문화를 연구하고 훌륭한 미래 지도자로서의 소양을 갖도록 연구 | |
청소년수련활동 | 청소년의 실제 활동을 수련목적에 비추어 진행시키며, 주로 다양한 활동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연구 | |
청소년지도 | 청소년을 지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의 유형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지식을 활용하여 연구 | |
청소년 상담 | 청소년심리 |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심리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고, 현장에서 청소년들을 지도하고 상담하는데 필요한 전문성을 키움 |
청소년상담 | 대표적인 상담이론에 관해 고찰하고 특히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과 발달적 상황에 맞는 상담 주제와 이론에 대해 연구 | |
청소년심리검사 |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 심리검사에 대해 학습하고, 각 심리검사를 직접 실시 및 해석해 봄으로써 현장에서 청소년들을 지도하고 상담하는데 필요한 전문성을 키움. |
교과구분 | 교 과 목 명 |
---|---|
전공선택 | 청소년인권과참여, 청소년정책론, 청소년기관운영, 청소년지도자론, 청소년육성제도론, 청소년지도방법론, 청소년문화, 청소년활동, 청소년복지, 청소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청소년문제와보호, 청소년상담의이론과실제, 심리측정평가, 아동·청소년 이상심리, 집단상담, 가족상담, 학업상담, 진로상담, 청소년심리, 통계, 비행 및 위기상담, 특수영역상담, 청소년상담실습 및 지도, 이상심리, 청소년상담실습, 놀이치료, 상담실습 |
전공필수 | 청소년연구방법론 |
공통필수 | 논문작성법 |
성명 | 이메일 | 전공분야 |
---|---|---|
정철상 | camp@hoseo.edu | 청소년지도 |
김혜원 | hyewkim@hoseo.edu | 청소년심리검사 및 상담 |
주은지 | jooej@hoseo.edu | 청소년심리 |
박진규 | parkjk@hoseo.edu | 청소년문화 |
성명 | 졸업년도 | 근무지 | 졸업학위 (석사·박사) |
---|---|---|---|
임OO | 2020 | 성정문화의집 | 석사 |
양OO | 2021 | 호서대학교 | 석사 |
안O진 | 2022 | 천안시청소년수련관 | 석사 |
최O선 | 2011 | 천안시청소년수련관 | 박사 |
염O진 | 2014 | (주) 호서E&C | 박사 |
청소년문화 · 상담학과 주임교수 정철상
041-560-8579/ camp@hoseo.edu